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

덤프버전 :



파일:HOI4_Banner__2.png


[ 펼치기 · 접기 ]
공략
공략 | 정치 및 외교 | 군사 | 기술 연구 | 교리 | 창발적 플레이 | 정보기관
국가
국가 | 고유 중점 국가 | 형성 가능 국가 | 해방 국가
국가 중점 | 7대 열강 중점 | 고유 중점
국가목록
인물
인물 | 7대 열강 인물 | 고유 중점 국가 인물
게임
이벤트 | 도전과제 | 역사적 AI 중점 | OST | 멀티 | 주 목록
모드
모드 | 모딩

[ 단독 문서가 개설된 모드 펼치기 · 접기 ]

기타
패치 | DLC | 발매 전 정보
문서 분류            파일 분류           둘러보기 틀




1. 개요
2. 특징
3. 관련 정보
3.2. 등장 세력
4. TRO 세계의 역사
5. 기타


1. 개요[편집]



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
붉은 질서: 유라시아의 새로운 나날들

링크
파일:레딧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게임 Hearts of Iron IV의 대체역사 모드인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의 3차 창작 모드로 개발중인 모드(약칭 TRO)로 해당 세계관은 원작 TNO와는 반대로 소련이 원래 역사보다 크게 승리해 유라시아 대부분을 공산화시킨 세계관이다.


2. 특징[편집]


소련을 상징하는게 특징인 로고가 돋보인다. 첫번째로 UI가 붉은 색이고, 두번째로 로고가 소련의 국장과 곰이다. 또한 본 모드의 유라시아의 첫번째 나날들이란 구절과는 달리 TNO의 유럽의 마지막 나날들이라는 구절과 철저히 대칭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전세계 곳곳에서 붉은 이념이 큰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어떤 국가들은 아예 붉은 이념의 지지율이 50%를 넘기기 직전인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런 국가들은 아예 나라의 존망을 좌지우지 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기도 하다.

The New Order 모드의 3차 창작물이다. 이때문에 부하린의 권력 투쟁 승리등 로어적 유사성을 보이지만, 스페인의 설정 등에서 모드의 주제목인 붉은 질서가 드러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남미에서 미국의 먼로 독트린이 사실상 깨지며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대립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3. 관련 정보[편집]




3.1. 발매 전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The Red Order/발매 전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등장 세력[편집]


  • 바이마르 조약 기구 - 소련이 주도인 공산권 국가들의 집단안보동맹기구. 원 역사의 바르샤바 조약기구보다 훨씬 상위호환에 있는 기구이며, 국제 연합과 함께 세계 1위의 패권을 두고 싸운다. TNO 세계관의 아인하이츠팍트 포지션. 회원국 :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인민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핀란드 민주 공화국, 오스트리아 사회주의 공화국[1], 헝가리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2], 그리스 사회주의 공화국[3], 덴마크 사회주의 공화국 , 노르웨이 사회주의 공화국[4], 이란 민주 공화국[5], 몽골 인민 공화국, 동베이 인민정부[6], 쿠바 공화국
  • 국제 연합 - 현실 역사의 UN과는 전혀 다른 미국 주도의 민주주의 동맹 기구이다. TNO 세계관의 OFN 포지션. 중국 공산당 세력을 저지하는데 성공한[7] 중화민국브라질이 미국의 주요 동맹이다.
  • 협상국-영연방 기구(ECO, Entente-Commonwealth Organization) - 영국프랑스 주도의 집단안보동맹기구로 미국의 유럽 소외 정책에 반발한 영국과 프랑스가 독자적인 행보를 걷겠다고 설립한 집단안보동맹기구이다. 미국의 정책에 반대하고 제국주의 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세력이라 미국의 또 다른 적이 될 수도 아니면 같은 민주주의 진영이라는 논리에 따라 우방이 될 수도 있다. 서독도 ECO 소속이다.


4. TRO 세계의 역사[편집]


#1#2#3#4

1924년
스탈린을 비롯한 정치적 라이벌들을 꺾은 니콜라이 부하린은 소련의 지도자가 되었다. 부하린은 대숙청을 일으키는 대신 소련 공산당 내에서 제한적인 정치적 담론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스탈린주의를 추종하는 라자르 카가노비치를 중심으로 스탈린의 세력들이 결집되기 시작한다. 한편 미하일 수슬로프와 같은 전통적인 레닌주의를 추종하는 파벌 역시 형성되었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소련 공산당의 정치적 담론 형성은 장점이자 동시에 단점이 되었다.

부하린은 가장 먼저 영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고 영국 노동당 정부는 역시 소련과 우호관계를 유지했다. 그 덕에 1924년부터 1929년까지 소련은 평화로운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영국제 트랙터들이 소련에 수출되었고 우크라이나 곡창지대에서의 식량생산을 증가시켰다. 또 소련인들은 최신 컴퓨터 기술에 접근할 수 있었고 영국제 공작기계와 산업장비들이 도입되면서 소련의 산업 생산성은 질적으로 발달되었다. 부하린의 친영정책은 자본가들과의 거래를 추구한다는 반대파의 비판에 직면했지만 부하린은 연방의 이익을 위해선 필수적이라고 반박했다.

평화로운 경제적 번영기간 동안 부하린은 트로츠키를 추방하고 좌익반대파를 해산시켰다. 한편, 스탈린 수정주의자들은 시베리아에서 군수공업을 발전시켜나갔다. 부하린은 처음에 이들을 주목하지 않았지만, 얼마 안 가 이들이 필요해졌다.

1930년대부터 시작된 그 이름도 무색한 대공황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영국 보수당 정권은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소련과의 무역을 중단해버렸다. 세계와 무역을 하던 소련의 경제는 곤두박질쳤고 수천명의 아사자가 속출했다.

-
한편,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프 케네디 대통령이 당선된다. 그는 보수적인 성향의 고립주의적 인물이었고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같은 대수술은 감행하지 않았다. 영국에 대한 지원 역시 철회했다. 그러나 독일군이 프랑스를 점령하면서 케네디의 강경한 고립주의에 대해 의구심을 보내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었다. 영국은 미국의 지원이 부재해 독일의 유보트영국 본토 항공전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만다.

그 와중에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뒤에도 소련은 한동안 이 일을 관망만 했다.[8] 그러나 바르바로사 작전이 발발하고 만다. 붉은 군대는 민스크와 키예프에서 붕괴되었고 독일군은 순식간에 모스크바 코앞까지 진격한다. 그러나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로 인해 독일군의 병참능력이 한계에 도달한 틈을 타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이 독일군을 몰아내는데 성공한다.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조지프 케네디는 태평양 우선주의 원칙을 채택해 대서양 함대까지 대일본 전선으로 투입한다. 미국의 지원을 받지 못한 영국과 자유 프랑스는 이러한 조치에 대해 크게 실망하고 만다. 어찌되었든 미국의 모든 해군전력이 태평양으로 투입되자 일본 해군은 고전을 면치 못했고 결국 솔로몬 해전에서 일본 해군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손실을 입고 참패하고 만다.

독일군은 첫 번째 패배를 만회하기 위해 보로실로프그라드로 진격했고 프리드리히 파울루스가 지휘하는 6군은 세묜 티모셴코가 지휘하는 소련군 19만 명과 보로실로프그라드에서 격렬한 시가전을 벌인다. 독일군이 그로즈니 점령과 보로실로프그라드 전투에 한 눈 판 사이 미하일 투하쳅스키가 결정적인 역습을 가해 그로즈니와 보로실로프그라드의 독일군을 포위섬멸하면서 순식간에 독일의 남부전선은 붕괴되고 만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역시 핀란드군을 격퇴해 에스토니아 회랑까지 확보하는데 성공하면서 레닌그라드는 포위전에서 해방된다. 소련군은 순식간에 드네프르 강벨라루스까지 도달했고 독일은 패망의 길을 걷게 된다. 소련군의 T-34들은 독일군의 재앙이 되었고 소련군 장교들이 종심작전의 빛을 발하자 2차 키예프 전투에서 또 다시 대규모의 독일군 병력들을 포위섬멸하고 하인츠 구데리안까지 포로로 붙잡는 대승을 거둔다.

뒤이어 소련군은 헬싱키를 함락하고 1944년에는 리가를 해방했지만 소련군의 전투력은 베를린을 점령하기에 충분하진 않은 군사력과 병참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9] 그래서 소련군은 공세를 미루고 미루다가 1945년 10월부터 최후의 공세를 한다. 민스크는 해방되었고 소련군은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로 진출하면서 추축국의 붕괴가 본격화된다.



-


파일: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 - 1944 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 infobox.png
TRO 세계관에서의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한편,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케네디의 후계자인 해피 챈들러가 승리를 거두었고 그는 태평양 전선에 모든 국력을 쏟아부었다. 그래서 반대급부로 유럽 전선에서의 미군은 제대로 진격하지 못하고 있었다.

동부전선에서는 200만의 소련군이 베를린을 포위하면서 베를린 전투가 개시되었다. 1946년 2월 29일, 베를린은 소련군에 의해 함락되었고 뒤이어 소련군은 서부전선의 연합군이 미적거리는 틈을 타 바이마르덴마크, 함부르크까지 진격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도주했다가 붙잡혀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교수형당한다.

몰락 작전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매우 파괴적이었다. 일본 주요 영토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고 미군 지상군이 일본 본토로 본격적으로 상륙했다. 거기에다가 1946년 4월, 소련군이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본격적으로 실시하면서 히로히토는 일본의 완전한 멸망이 머지 않았음을 판단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다.

-

2차 세계대전은 세계의 많은 것을 바꾸어놓았다. 소련은 유럽의 대부분을 공산화하는데 성공했고 미국의 미지근한 지원에 반발한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서유럽 국가들은 ECO(Entete Commonwealth Organization)라는 독자적인 집단 안보 조약기구를 창설한다.

한편 2차 국공 내전이 발발하고 홍군은 만주 주요 지역을 석권하는데 성공하지만 하북의 잘 훈련되고 무장된 국민당군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고 결국 만주를 중심으로 동베이 인민정부가 설립된다. 린뱌오 치세에 동베이 인민정부는 아시아에서 발전된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지만 중국 공산당 내부 파벌 갈등이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10]

-

그로부터 많은 시간이 지나고, 소련을 명실상부한 유라시아의 패자로 만든 74세의 니콜라이 부하린은, 이제 늙어서 죽을 날이 머지않았다. 또한 크렘린 내부에서는 권력 암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본격적으로 스탈린주의자들과 개혁파, 전통적 레닌주의자 간의 권력게임이 시작되고 있었다.[11] 이러한 파워게임은 군부 내부에서도 갈등을 유발했다. 이반 코네프는 스탈린주의자인 카가노비치를 지지하고 있었고 미하일 투하쳅스키겐리흐 야고다는 이를 사회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야고다는 스탈린주의자들을 견제하기 위해 스탈린주의자에 대한 숙청을 감행했고 이반 코네프만이 숙청의 광풍에서 살아남는다. 이제 소련의 권력투쟁에서 주류가 된 세력들은 다음과 같다.

  • 미하일 수슬로프가 이끄는 세력
  • 표트르 마셰료프가 이끄는 세력
  • 알렉센더 슬렙코프가 이끄는 세력
  • 아나스타스 미코얀이 이끄는 세력
  • 겐리흐 야고다가 이끄는 NKVD, 점진적 개혁세력
  • 미하일 투하쳅스키가 이끄는 소련 군부, 보수주의 세력

플레이어는 이 세력 중 하나를 선택해 새로운 소련을 이끌어나가야 한다.


5. 기타[편집]


TNO에서 인기있던 발레리 사블린은 여기서는 반대로 패권국이 된 TRO의 소련에서 20대 장교가 서기장이 되는건 말이 안된다고 여긴 제작진에 의해 아예 취소되었다.

[1] 서오스트리아는 서독에 흡수되었고, 빈은 나뉘어졌다.[2] 원 역사와는 달리 소련이 너무 승리한 덕에 유고가 소련에 덤빌 수가 없는 구조이다.[3] 그리스 내전이 지지부진하게 휴전됨으로 인해 동부 그리스와 분단되었다.[4] 남부 노르웨이와 분단되었다.[5] 남부 팔레비 왕조의 이란과 분단되었다.[6] 만주국 지역에 있는 중국 공산당 정권이다.[7] 완전 토벌에는 실패하여 동베이 인민 정부와 분단된 상태이다.[8] 물론 독소 폴란드 점령에는 참여했다.[9] 부하린의 점진적 공업화와 대공황으로 인한 타격 때문에 원래 역사보다 소련군의 기계화는 늦춰졌고 그렇기에 대규모 전략 공세를 하려면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고립주의 성향의 TRO 세계의 미국은 태평양전쟁에 집중하고 있을 뿐 유럽과 소련에 랜드리스를 하지 않고 있다.[10] 마오쩌둥은 1946년 쑨리런이 이끄는 중화민국군에 사망했다.[11] 개발진들에 따르면 TNO 세계의 독일과 달리 부하린이 쓰러진 후 내전이 터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다. 부하린은 1972년에 죽는다고 했다. 또한 폴란드와 동독 사이에서 국경 분쟁이 발발할 예정이라고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7:16:16에 나무위키 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